표트르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트르 3세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국의 킬에서 태어났으며, 러시아 제국의 황제와 스웨덴 국왕의 상속자로 여겨졌다. 옐리자베타 여제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핀란드의 왕으로 선포되기도 했다. 1745년 조피 폰 안할트체르프스트와 결혼하여 파벨 1세를 낳았지만, 예카테리나 2세가 러시아인으로 변해가는 동안 그는 독일과 프로이센에 대한 애착을 버리지 못했다. 1762년 옐리자베타 여제의 사망 후 러시아 황제로 즉위했으나, 프로이센에 편향된 정책과 종교적 문제, 방탕한 생활로 민심을 잃었다. 결국 예카테리나 2세의 쿠데타로 폐위되어 살해되었다. 그는 교육,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시도했으며, 사후에는 여러 사칭자가 나타나기도 했다. 표트르 3세는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예카테리나 2세와 관련된 인물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트르 3세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표트르 3세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예카테리나 2세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예카테리나 2세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살해된 18세기 군주 - 나디르 샤
18세기 중반 이란을 통치한 아프샤르 왕조의 창시자 나디르 샤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권력을 장악, 이란을 재통일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정으로 암살당해 아프샤르 왕조는 붕괴되었고, 군사적 천재성이 돋보이나 잔혹한 폭군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살해된 18세기 군주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표트르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칼 페터 울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
러시아어 이름 | 표트르 3세 표도로비치 (Пётр III Фёдорович) |
출생 | 1728년 2월 21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홀슈타인 공국, 독일, 킬 |
사망 | 1762년 7월 17일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로프샤 |
매장지 | 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 (1762년–179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 (1796년부터) |
종교 | 루터교 → 러시아 정교회 |
![]() | |
통치 | |
작위 | 러시아 황제 |
재위 기간 | 1762년 1월 5일 – 1762년 7월 9일 |
대관식 | 알려진 정보 없음 |
이전 통치자 | 엘리자베타 |
다음 통치자 | 예카테리나 2세 |
작위 |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
재위 기간 | 1739년 6월 18일 – 1762년 7월 9일 |
이전 통치자 | 카를 프리드리히 |
다음 통치자 | 파벨 1세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예카테리나 2세 (1745년 8월 21일 결혼) |
자녀 | 파벨 1세 안나 페트로브나 여대공 |
왕가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가 |
아버지 |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
어머니 | 안나 페트로브나 |
2. 생애
1742년, 후사를 이을 아이가 없던 이모인 러시아 제국의 옐리자베타 여제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표트르는 14살이 되던 해부터 러시아 궁정에 살면서 안할트제르프스트 공국의 공녀인 조피 폰 안할트체르프슈트와 결혼했다. 같은 독일 태생이었던 두 사람은 금방 친해졌으나 조피가 이름을 러시아식인 예카테리나로 바꾸는 등 차츰 러시아인으로 변하며 국민적 지지를 얻을수록 독일에 아직 강한 애착을 가졌던 표트르는 그녀를 멀리하고 미하일 보론초프 백작의 조카 엘리자베타 보론초바를 애인으로 삼았다.[19]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여제가 서거함에 따라 표트르 3세는 러시아 제국의 새 황제로 등극했다.[19] 즉위 후 옐리자베타의 장례 기간 내내 사람들 앞에서 웃고 떠들며 술을 마시고, 프로이센에 국가 기밀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떠드는 등의 행동을 했다. 추도 기간이 끝난 후, 즉시 프로이센 왕국과의 전쟁을 중지해 멸망 직전에 몰리고 있던 프로이센 왕국을 구해주었다. 당시 러시아는 프로이센과의 7년 전쟁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었지만,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를 우상처럼 숭배했기 때문에 승자로서 마땅히 적에게 항복의 조건을 요구하는 대신 프로이센이 원래의 영토를 유지하게 했다.[19] 심지어 러시아군의 제복을 프로이센과 유사한 제복으로 바꾸어버렸다. 그는 자국인 러시아의 국익보다는 프로이센의 안위를 더 염두에 두었던 것이다.
1762년 5월 5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통해 프로이센과 강화하고,[19] 6월 19일에는 프로이센과 공수 동맹을 체결했다.[19] 이 강화 조약으로 러시아는 막대한 인적 희생과 자금을 들여 얻은 영토를 모두 프로이센에 반환했다.[19] 또한 빈의 합스부르크 제국 궁정에 위협을 가해 프로이센 왕의 요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으면 선전포고하겠다고 했다.[19]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으로서 덴마크-노르웨이와의 전쟁을 계획하여 슐레스비히의 일부를 자신의 공국으로 되돌리려 했다.[11] 스웨덴 및 대영 제국과 동맹을 맺어 덴마크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러시아군은 러시아 점령하의 포메라니아의 콜베르크에 집결했다. 러시아 군대가 국경 근처에 집중하는 것에 경각심을 느낀 덴마크 정부는 러시아의 침략에 저항할 동맹국을 찾지 못하고 전쟁 자금도 부족하여, 6월 말에 북부 독일의 도시 국가 함부르크를 침공하여 대출을 강요하겠다고 위협했다. 표트르는 이를 ''카수스 벨리''로 간주하고 덴마크와의 전면전을 준비했다.[11]
1762년 6월, 40,000명의 러시아군이 표트르 루먄체프 장군의 지휘 하에 포메라니아에 집결하여, 러시아-덴마크 자유 회담 (1762년 7월 1일 프리드리히 2세의 후원 하에 베를린에서 개최 예정)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프랑스 장군 생제르맹 백작의 지휘 하에 있는 27,000명의 덴마크군과 대치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회담 직전 표트르는 왕위를 잃었고 회담은 열리지 않았다. 슐레스비히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았다.[12] 결국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덴마크-노르웨이에 공격의 화살을 돌려 7월 6일에 러시아군에게 메클렌부르크를 통과해 덴마크를 침공하도록 명령했다.[19] 이 침공은 러시아군과 덴마크군이 조우하기 직전에 러시아 본국의 정변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9]
루터교 교육을 받고 자란 그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음에도 신앙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황제가 된 후에는 모든 교회의 재산을 몰수해 국유화해버렸고, 성직자들에게 수염을 깎고 루터교의 목사처럼 옷을 입으라고 강요했다.
공식석상에서도 정부인 엘리자베타 보론초바와 함께 지냈고 오직 황족에게만 허용되는 여러 가지 특권들을 그녀에게도 허용했다. 그에 반면 아내인 예카테리나 2세에게는 수시로 폭력을 휘두르거나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모욕을 주는 데다가 심지어는 감옥에 가두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이렇게 계속되는 실정과 방탕한 생활로 표트르 3세는 급속히 민중으로부터 지지를 잃어갔다.
1762년 여름, 통치 반년 만에 황후 예카테리나 2세는 황실 근위대의 도움을 받아 남편을 폐위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예카테리나 2세로 선포되었다. 국민적 지지를 얻은 그녀는 페테르부르크 주위의 모든 성문과 다리를 봉쇄할 것을 지시했다.
그 무렵 아무것도 모른 채 정부와 함께 페트르호프 별궁으로 가던 표트르 3세는 예카테리나가 반란을 일으켜 러시아의 새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당황했다. 측근들은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로 피신할 것을 권했으나, 시간을 낭비했고, 예카테리나는 민첩하게 크론슈타트 군 지휘관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크론슈타트 해군들이 반란에 동참했다는 것을 알고 충격에 빠졌다. 측근들은 덴마크 침공에 대비해 레벨항에 집결해 있는 군대로 가자고 권했지만, 이미 결단력을 상실하여 그곳으로 가는 대신 낮잠을 잤다.
결국 1762년 6월 29일, 예카테리나 2세가 제국에 대한 모든 권리를 영원히 포기하라는 문서에 순순히 서명했다. 이후 예카테리나 2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근교의 여름 별장으로 보내 오를로프 백작 형제에게 감시하게 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정통성을 가진 표트르 3세가 살아있는 한 자신의 제위가 안전하지 않다고 여겼다. 예카테리나 2세가 제위에 오른 지 1주일 후, 그녀의 오른팔인 알렉세이 오를로프에 의해 교살되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심한 복통으로 인한 출혈로 사망했다고 발표되었다. 표트르 3세의 사형을 예카테리나 2세가 직접 명령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그녀가 바라던 일이었음은 틀림없다.[16]
1762년 8월 3일(구력 7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에 묻혔다.[6]
2. 1. 초기 생애와 배경

표트르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국의 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와 러시아 대공녀 안나 페트로브나였다. 카를 프리드리히는 스웨덴의 칼 11세의 손자였고, 안나는 러시아 군주 표트르 대제와 예카테리나 1세의 딸이었다. 표트르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 1739년, 표트르의 아버지가 사망했고, 그는 11세의 나이에 카를 페터 울리히(Karl Peter Ulrichde)로서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 되었다.[2]
표트르의 이모인 러시아의 엘리자베스가 러시아 제국의 여제가 되자, 그녀는 표트르를 독일에서 러시아로 데려와 1742년 가을에 그를 자신의 황위 계승자로 선포했다. 앞서 1742년, 14세의 표트르는 러시아-스웨덴 전쟁 (1741–1743) 동안 러시아 군대가 핀란드를 점령했을 때 핀란드의 왕으로 선포되었다. 이 선포는 그의 후사 없는 삼촌인 스웨덴의 칼 12세가 보유했던 영토에 대한 그의 상속권에 기초했으며, 칼 12세는 또한 핀란드의 대공이었다. 거의 같은 시기인 1742년 10월, 그는 신분 의회에 의해 스웨덴 왕위의 황위 계승자가 되도록 선택되었다. 그러나 스웨덴 의회는 그가 또한 러시아 왕위의 황위 계승자로 선포되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11월에 그들의 사절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했을 때는 너무 늦었다. 또한 11월에 표트르는 퍄트르 표도로비치라는 이름으로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고, 러시아 대공이 되었다. "표트르 대제의 손자"(внук Петра Великого|vnuk Petra Velikogoru)라는 말은 그의 공식 칭호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고, 러시아 왕위에 대한 그의 왕위 주장을 강조했으며, 그 말을 생략하는 것은 형사 범죄가 되었다.[3]
엘리자베스 여제는 표트르가 그의 사촌인 조피아 아우구스타 프리데리카(나중에 예카테리나 2세)와 결혼하도록 주선했는데, 조피아는 안할트체르프스트 공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와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주 요한나 엘리자베스의 딸이었다. 조피아는 공식적으로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고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즉, 예카테리나)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들은 1745년 8월 21일에 결혼했다. 결혼은 행복하지 않았지만, 미래의 황제인 파벨 1세와 딸 안나 페트로브나(1757년 12월 9일 ~ 1759년 3월 8일)를 낳았다.[4] 예카테리나는 나중에 그녀의 사적인 글에서 파벨이 표트르의 아들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사실 그들은 결혼을 성사시킨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5] 오라니엔바움에서 16년 동안 거주하는 동안, 예카테리나는 수많은 정부를 두었고, 남편도 초반에는 마찬가지였다.
1728년 2월 21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카를 프리드리히와 표트르 1세의 장녀 안나 페트로브나 사이에서 태어났다.[19] 아버지의 사촌 동생이 스웨덴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이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1739년에 공작위를 계승했다. 1741년 12월, 미혼에 자녀가 없던 숙모인 러시아 여제 엘리자베타가 러시아 여제의 지위를 확보하자 그녀는 곧 카를 페터 울리히를 양자로 삼았다.[19] 카를 페터 울리히는 1742년 11월 18일 정교회로 개종하여 표트르 표도로비치라고 칭했다.[19] 1745년 8월 21일, 엘리자베타의 지시로 부계 사촌 조피 아우구스타 프리데리케 폰 안할트체르프스트와 결혼했고,[19] 그녀는 개종하여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라고 칭했다.[19] 두 사람은 5년 후 서로의 관심사도 기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표트르는 황위에 즉위한 직후에도 예카테리나의 채무를 이유도 묻지 않고 지불했으며, 4월 예카테리나의 생일에는 매년 1만 파운드 상당의 영지를 하사했다.[19] 표트르는 미하일 보론초프 백작의 조카 엘리자베타 보론초바를 애인으로 삼았지만, 예카테리나 역시 그리고리 그리고리에비치 오를로프를 애인으로 삼았다.[19]
2. 2. 러시아 황태자 시절
1742년, 후사를 이을 아이가 없던 이모인 러시아 제국의 옐리자베타 여제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표트르는 14살이 되던 해부터 러시아 궁정에 살면서 안할트제르프스트 공국의 공녀인 조피 폰 안할트체르프슈트와 결혼했다. 같은 독일 태생이었던 두 사람은 금방 친해졌으나 조피가 이름을 러시아식인 예카테리나로 바꾸는 등 차츰 러시아인으로 변하며 국민적 지지를 얻을수록 독일에 아직 강한 애착을 가졌던 표트르는 그녀를 멀리하고 부재상 미하일 보론초프의 질녀 옐리자베타 보론초파라는 여인을 가까이 두었다.[19]1728년 2월 21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와 표트르 1세의 장녀 안나 페트로브나 사이에서 태어났다.[19] 아버지의 사촌 동생은 스웨덴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이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1739년에 공작위를 계승했다. 1741년 12월, 미혼에 자녀가 없던 숙모인 러시아 여제 엘리자베타가 러시아 여제의 지위를 확보하자 그녀는 곧 카를 페터 울리히를 양자로 삼았다.[19] 카를 페터 울리히는 1742년 11월 18일 정교회로 개종하여 표트르 표도로비치라고 칭했다.[19] 1745년 8월 21일, 엘리자베타의 지시로 부계 사촌 조피 아우구스타 프리데리케 폰 안할트체르프스트와 결혼[19]했고, 그녀는 개종하여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라고 칭했다.[19] 두 사람은 5년 후 서로의 관심사도 기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표트르는 황위에 즉위한 직후에도 예카테리나의 채무를 이유도 묻지 않고 지불했으며, 4월 예카테리나의 생일에는 매년 10000GBP 상당의 영지를 하사했다.[19] 표트르는 미하일 보론초프 백작의 조카 엘리자베타 보론초바를 애인으로 삼았지만, 예카테리나 역시 그리고리 그리고리에비치 오를로프를 애인으로 삼았다.[19]
2. 3. 즉위와 통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여제가 서거함에 따라 표트르 3세는 러시아 제국의 새 황제로 등극했다.[19] 표트르 3세는 즉위 후 옐리자베타의 장례 기간 내내 사람들 앞에서 웃고 떠들며 술을 마시고, 프로이센에 국가 기밀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떠드는 등의 행동을 했다. 추도 기간이 끝난 후, 표트르 3세는 즉시 프로이센 왕국과의 전쟁을 중지해 멸망 직전에 몰리고 있던 프로이센 왕국을 구해주었다. 당시 러시아는 프로이센과의 7년 전쟁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었지만, 표트르 3세는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를 우상처럼 숭배했기 때문에 승자로서 마땅히 적에게 항복의 조건을 요구하는 대신 프로이센이 원래의 영토를 유지하게 했다.[19] 심지어 러시아군의 제복을 프로이센과 유사한 제복으로 바꾸어버렸다. 그는 자국인 러시아의 국익보다는 프로이센의 안위를 더 염두에 두었던 것이다.표트르 3세는 1762년 5월 5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통해 프로이센과 강화하고,[19] 6월 19일에는 프로이센과 공수 동맹을 체결했다.[19] 이 강화 조약으로 러시아는 막대한 인적 희생과 자금을 들여 얻은 영토를 모두 프로이센에 반환했다.[19] 또한 빈의 합스부르크 제국 궁정에 위협을 가해 프로이센 왕의 요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으면 선전포고하겠다고 했다.[19]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으로서 표트르는 덴마크-노르웨이와의 전쟁을 계획하여 슐레스비히의 일부를 자신의 공국으로 되돌리려 했다.[11] 그는 스웨덴 및 대영 제국과 동맹을 맺어 덴마크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러시아군은 러시아 점령하의 포메라니아의 콜베르크에 집결했다. 러시아 군대가 국경 근처에 집중하는 것에 경각심을 느낀 덴마크 정부는 러시아의 침략에 저항할 동맹국을 찾지 못하고 전쟁 자금도 부족하여, 6월 말에 북부 독일의 도시 국가 함부르크를 침공하여 대출을 강요하겠다고 위협했다. 표트르는 이를 ''카수스 벨리''로 간주하고 덴마크와의 전면전을 준비했다.[11]
1762년 6월, 40,000명의 러시아군이 표트르 루먄체프 장군의 지휘 하에 포메라니아에 집결하여, 러시아-덴마크 자유 회담 (1762년 7월 1일 프리드리히 2세의 후원 하에 베를린에서 개최 예정)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프랑스 장군 생제르맹 백작의 지휘 하에 있는 27,000명의 덴마크군과 대치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회담 직전 표트르는 왕위를 잃었고 회담은 열리지 않았다. 슐레스비히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았다.[12] 결국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덴마크-노르웨이에 공격의 화살을 돌려 7월 6일에 러시아군에게 메클렌부르크를 통과해 덴마크를 침공하도록 명령했다.[19] 이 침공은 러시아군과 덴마크군이 조우하기 직전에 러시아 본국의 정변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9]
루터교 교육을 받고 자란 그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음에도 신앙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황제가 된 후에는 모든 교회의 재산을 몰수해 국유화해버렸고, 성직자들에게 수염을 깎고 루터교의 목사처럼 옷을 입으라고 강요했다.
표트르 3세는 공식석상에서도 정부인 옐리자베타 보론초바와 함께 지냈고 오직 황족에게만 허용되는 여러 가지 특권들을 그녀에게도 허용했다. 그에 반면 아내인 예카테리나 2세에게는 수시로 폭력을 휘두르거나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모욕을 주는 데다가 심지어는 감옥에 가두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이렇게 계속되는 실정과 방탕한 생활로 표트르 3세는 급속히 민중으로부터 지지를 잃어갔다.
2. 4. 폐위와 죽음
1762년 여름, 표트르 3세의 통치 반년 만에 황후 예카테리나 2세는 황실 근위대의 도움을 받아 남편을 폐위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예카테리나 2세로 선포되었다. 국민적 지지를 얻은 그녀는 페테르부르크 주위의 모든 성문과 다리를 봉쇄할 것을 지시했다.그 무렵 아무것도 모른 채 정부와 함께 페트르호프 별궁으로 가던 표트르 3세는 예카테리나가 반란을 일으켜 러시아의 새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당황했다. 측근들은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로 피신할 것을 권했으나, 표트르 3세는 시간을 낭비했고, 예카테리나는 민첩하게 크론슈타트 군 지휘관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크론슈타트 해군들이 반란에 동참했다는 것을 알고 표트르 3세는 충격에 빠졌다. 측근들은 덴마크 침공에 대비해 레벨항에 집결해 있는 군대로 가자고 권했지만, 표트르 3세는 이미 결단력을 상실하여 그곳으로 가는 대신 낮잠을 잤다.
결국 1762년 6월 29일, 표트르 3세는 예카테리나 2세가 제국에 대한 모든 권리를 영원히 포기하라는 문서에 순순히 서명했다. 이후 예카테리나 2세는 표트르 3세를 상트페테르부르크 근교의 여름 별장으로 보내 오를로프 백작 형제에게 감시하게 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정통성을 가진 표트르 3세가 살아있는 한 자신의 제위가 안전하지 않다고 여겼다. 예카테리나 2세가 제위에 오른 지 1주일 후, 그녀의 오른팔인 알렉세이 오를로프에 의해 표트르 3세는 교살되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표트르 3세가 심한 복통으로 인한 출혈로 사망했다고 발표되었다. 표트르 3세의 사형을 예카테리나 2세가 직접 명령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그녀가 바라던 일이었음은 틀림없다.[16]
표트르 3세는 1762년 8월 3일(구력 7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에 묻혔다.[6]
3. 개혁
표트르 3세는 186일 동안 재위하면서, 황태자 시절부터 준비해 온 220개의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엘레나 팔머는 그의 개혁이 민주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종교의 자유를 선포했다고 평가한다.[14]
3. 1. 교육 개혁
표트르 3세는 모든 어린이들을 위한 의무 교육을 시행하고, 귀족 자제들을 위한 직업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장인을 위한 직업 훈련을 계획하고 교사의 자격 요건을 강화하는 등 교육 개혁에 힘썼다.[1]
3. 2. 경제 개혁
표트르 3세는 186일간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황태자 시절부터 준비해 온 220개의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작가 엘레나 팔머는 그의 개혁이 민주적인 성격을 띠었다고 주장한다.[14]표트르 3세의 경제 정책은 서구 자본주의와 상인 계급, 즉 "제3 신분"의 영향력 증가를 반영했다. 그는 러시아 최초의 국립 은행을 설립하고, 귀족의 무역 독점을 거부했으며, 곡물 수출을 늘리고 러시아에서 구할 수 있는 설탕 및 기타 재료의 수입을 금지함으로써 중상주의를 장려했다.[15]
항목 | 내용 |
---|---|
국립 은행 설립 | 러시아 최초의 국립 은행 설립 |
루블화 가치 절하 | 수출 촉진을 위해 루블화 가치 절하 |
귀족 독점 폐지 | 귀족의 토지 보유 독점 폐지 |
소금세 폐지 | 소금세 폐지 |
중산층 육성 | 부르주아 중산층 육성 |
인프라 구축 | 원격 지역 인프라 구축 |
대외 무역 자유화 | 대외 무역 자유화를 통한 러시아 경제 강화 |
3. 3. 교회 개혁
표트르 3세는 교회 재산을 국유화하고, 교회의 권력으로부터 농민을 해방시키는 개혁을 추진했다.[1] 또한 종교적 관용과 양심의 자유를 보장하고, 교회의 부패 및 비리를 단속하는 정책을 펼쳤다.[1]3. 4. 사법 및 사회 개혁
표트르 3세는 고문을 금지하고,[1] 비밀 경찰을 해산했으며,[1] 귀족의 복무 의무를 폐지했다.[1] 또한 정치적 박해를 받은 사람들을 사면하고,[1] 변경 지역 추방 대신 징역형을 도입했다.[1] 통일된 러시아 법전을 계획하고,[1] 피고인을 지원하는 사법 개혁을 추진했으며,[1] 러시아 귀족의 해외 여행 및 설립 자유화를 허용했다.[1]3. 5. 도시 개혁
표트르 3세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했다.
4. 평가와 유산
표트르 3세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그의 아내 예카테리나 2세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한 부정적인 시각이다. 예카테리나는 표트르 3세를 "바보", "홀슈타인의 술고래" 등으로 묘사하며, 그와의 결혼 생활을 불행하게 여겼다.[6] 심지어 표트르 3세가 숭배했던 프리드리히 2세조차 그를 "잠자리에 들도록 보내진 아이처럼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났다"라고 평가했다.[6]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도 표트르 3세를 "비열", "흉측", "혐오스러움" 등의 단어로 묘사하며, "병사의 조증"에 빠져 러시아인을 혐오하고 홀슈타인 사람들을 주변에 두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러시아 역사가 A. S. 밀니코프는 표트르 3세에게 예리한 관찰력, 열정, 재치, 솔직함, 선량함 등 다양한 면모가 있었다고 평가했다.[7] 독일 역사가 엘레나 팔머는 표트르 3세를 18세기 러시아에 민주적인 개혁을 도입하려 했던 교양 있는 황제로 묘사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8]
표트르 3세 사후에는 그를 사칭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들은 표트르 3세가 죽지 않고 비밀리에 감금되었다는 소문을 믿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가장 유명한 사칭자는 코사크 출신 예멜리얀 푸가초프로, 1774년 푸가초프의 난을 이끌었다.[17]
표트르 3세의 아들 파벨 1세는 어머니 예카테리나 2세의 행동을 싫어하여, 1796년 표트르 3세의 유해를 발굴하여 성 베드로 & 바울 대성당에 재매장했다.
5. 가족 관계
표트르 1세와 예카테리나 1세의 딸인 안나 페트로브나와 칼 12세의 생질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사이에서 태어났다. 표트르 3세 표도로비치|표트르 3세ru는 1745년 8월 21일 훗날 예카테리나 2세가 되는 조피 프레데리케 아우구스테 폰 안할트체르프스트와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파벨 1세 | 1754년 9월 20일 | 1801년 3월 23일 (46세) | 러시아 제국 차르, 4남 6녀 |
안나 | 1757년 12월 20일 | 1759년 3월 19일 | 요절 |
6. 대중문화
표트르 3세는 여러 영화에서 등장했으며, 대부분 그의 아내 예카테리나 2세에 관한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1927년 영화 ''카사노바의 사랑''에서는 루돌프 클라인-로게가, 1934년 영화 ''예카테리나 대제의 부상''에서는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니어가, 같은 해 ''스칼렛 엠프레스''에서는 샘 자페가 표트르 3세를 연기했다. 1991년 텔레비전 시리즈 ''젊은 예카테리나''에서는 리즈 딘스데일이 표트르 3세를 연기했다. ''라 템페스타''(1958)는 예멜리안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로 인정받으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예카테리나 2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 이 영화에서는 반 헤플린이 푸가초프 역을, 비베카 린드포르스가 예카테리나 역을 맡았다. 표트르 3세는 또한 일본 애니메이션 ''슈발리에 D'Eon''에서 비겁하고 술에 취한 아내 폭행범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2014년 TV 시리즈에서 알렉산드르 야첸코가 연기했으며, 2020–2023년 훌루 드라마 코미디 시리즈 ''더 그레이트''에서는 니콜라스 홀트가 역사적으로 부정확한 버전의 표트르 3세를 연기했다.
표트르 3세가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품명 | 제작사 | 배우 |
---|---|---|---|
1977 | Catherine la Grande|예카테리나 여제프랑스어 | 앙리 트루아야 (전기) | |
1980 | Catherine la Grande|예카테리나 여제프랑스어 (번역판) | 구도 요코 (번역) | |
1982 | Catherine la Grande|예카테리나 여제프랑스어 (극화판) | 이케다 리요코 (극화) | |
1986 | Михайло Ломоносов|미하일 로모노소프ru | 모스필름 | Борис Григорьевич|보리스 그리고리예비치ru |
1991 | Young Catherine|영 캐서린영어 | 터너 네트워크 텔레비전 | Reece Dinsdale|리스 딘스데일영어 |
1995 | Catherine the Great|예카테리나 대제영어 | 독일·미국·호주 합작 | Hannes Jaenicke|하네스 예니케de |
2005 | Фаворит|파보리트 (총신)ru | Даниил Шигапов|다니일 시가포프ru | |
2006 | 슈발리에 ~Le Chevalier D'Eon~ | ||
2007 | Серебряный самурай|은의 사무라이ru | Даниил Иванович|다니일 이바노비치ru | |
2007 | Пером и шпагой|펜과 칼ru | 로시야 1 | Сергей Дмитриевич|세르게이 드미트리예비치ru |
2013 | Романовы|로마노프 왕가ru | 채널 1 | Илья Владимирович|일리야 블라디미로비치ru |
2014 | 예카테리나 | 로시야 1 |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ович|알렉산드르 빅토로비치ru |
2015 | Великая|예카테리나 대제ru | 채널 1 | Павел Юрьевич|파벨 유레비치ru |
2018 | Кровавая барыня|피투성이 귀부인ru | 로시야 1 |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예브게니 알렉산드로비치ru |
참조
[1]
서적
Вольтер и Россия
Институт Мировой Литературы им А. М. Горького РАН
[2]
서적
A History of Russian Law: From the Council Code (Ulozhenie) of Tsar Aleksei Mikhailovich of 1649 to the Bolshevik Revolution of 1917
Brill
[3]
논문
The personal mythology of Peter III Feodorovich as deployed in Russian panegyrics of 1742, 1743, and 1762
https://central.bac-[...]
University of Alberta
2024-04-03
[4]
서적
Catherine the Great
https://books.google[...]
World Almanac Library
2017-11-24
[5]
서적
A Treasure of Royal Scandal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6]
서적
The Empress of Ar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6-00-00
[7]
서적
The Emperors and Empresses of Russia: Rediscovering the Romanovs
ME Sharpe
[8]
웹사이트
Peter III - The Prince of Holstein (German) on Amazon
https://www.amazon.c[...]
[9]
웹사이트
Memory of Russia abroad: The first monument dedicated to Russian Emperor Peter III opened in Germany
https://www.prlib.ru[...]
2024-02-17
[10]
문서
(정보 부족)
(정보 부족)
[11]
서적
The French Navy and the Seven Years' War
University of Nebraska
[12]
서적
Piotr III
[13]
서적
Peter III – Der Prinz von Holstein
Sutton Publishing
[14]
서적
Baltic Sagas: Events and Personalities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Virtualbookworm Publishing
[15]
서적
The Emperors and Empresses of Russia: Rediscovering the Romanovs
ME Sharpe
[16]
서적
Catherine the Great: Portrait of a Woman
Random House
2011-00-00
[17]
간행물
Nauka i jizn
[18]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19]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